2025.07.10.-2025.07.16.
[1] 자체 호스팅 가능한 페디버스(마스토돈) 기반의 트레일 데이터베이스, Wanderer | © Flomp | 지도 데이터 © 오픈스트리트맵 기여자
지도 제작
- 노면 표지 개정안이 찬성 21표, 반대 5표, 기권 1표로 가결되었습니다.
커뮤니티
- HazelCyril이 마지막으로 일기를 올린 날짜나 참고 사항(note)을 작성한 날짜가 저장되는지 물어보았습니다.
- KhubsuratInsaan이 오픈스트리트맵을 여가 활동의 일종으로 홍보하는 것이 “공짜로 무언가를 한다”라는 생각이 혐오스럽게 여겨지는 특정 사회적 맥락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 미국 커뮤니티에서 오픈스트리트맵에 존재하는 교구(敎區) 경계 데이터를 삭제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에 Minh Nguyễn은 OpenHistoricalMap에 가톨릭 교구 경계를 그리는 방법을 보여주었습니다.
- SomeoneElse가 경계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은 지역을 그릴 때의 어려움을 강조하면서, 오픈스트리트맵이 여전히 이러한 지역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문제는 사람들이 장소의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정의하는지에 관한 것으로, Euan Mills의 논문에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논문에서 Mills는 A10 도로를 따라 4.5 km 거리를 걸으면서 약 200 m마다 지나가는 행인 10명에게 “실례합니다, 여기가 어느 지역입니까?”라고 묻는 사회적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 8년 전에 BikeRoad가 그린 페루 리마의 하이킹 코스가 최근 인스타그램에서 화제가 되었다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UrbanRoaming이 전했습니다. 뒤늦게 이렇게 화제가 된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 길은 여전히 구글 지도에는 표시되지 않지만,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를 사용하는 포켓몬 고에는 완벽하게 표시되기 때문입니다. 덕분에 모험을 즐기는 인스타그래머들은 이제 빅테크의 지도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하이킹 가이드로서 포켓몬 고를 애용하고 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
- 오픈스트리트맵 재단 운영 작업반에서 최근 OSM OAuth 보안 업데이트를 진행했습니다. 따라서 HOT 태스킹 매니저, osm-api-js, osm-auth와 같이 OAuth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자라면 이에 맞춰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 오픈스트리트맵 재단에서 오픈스트리트맵 플랫폼과 생태계를 개선하는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커뮤니티 회원을 지원하기 위해 2025 공학 작업반(EWG) 소규모 지원금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지원금은 총 30,000파운드(약 5,600만원)가 배정되며, 혁신적이고 영향력 있는 여러 제안에 나눠줄 예정입니다. 한 프로젝트가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은 최대 6,000파운드(약 1,100만원)로 제한되어 있지만, 야심찬 아이디어가 있으시다면 큰 꿈을 가지고 지원해 보세요.
행사
- SOTMUS 2025의 강연 영상이 OSM-US 유튜브 채널에 올라오고 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연구
- 미국과 독일의 연구진이 주의가 산만한 채로 운전하거나, 악천후 속에서 주행하거나, GPS를 맹목적으로 따라가거나, GPS가 도로 상태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실제로 자동차가 지나가기 어려운 지름길 등)로 인해 벌어지는 이른바 ‘GPS에 의한 사망(death by GPS)’을 조사했습니다.
- Jakub Trojan과 Tereza Srnečková가 대학교 주도로 매파톤을 엶으로써 오픈스트리트맵과 같은 플랫폼에서 시민들이 기여하는 지리 데이터의 품질과 양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인도주의적 목적을 위한 교육과 커뮤니티 중심의 지도 구축을 촉진한다는 내용의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이들은 체코 즐린에 위치한 토마스 바타 대학교에서 진행한 매파톤을 예시로 들었습니다.
- Ming Liu를 비롯한 연구진이 오픈스트리트맵의 도로 및 관심 지점(POI) 데이터를 사용해 중국 다롄의 야간 조명 환경을 평가했습니다. 해당 연구는 야간 밝기를 기능적 도시지역1과 연결해 조명에 취약한 지역과 조명이 많은 지역을 모두 파악함으로써 더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조명을 위한 귀중한 통찰을 제공했습니다.(기능적 도시지역1(Functional urban area, FUA): 중심 도시 및 주변 지역을 통틀어 일컫는 말. 여기서 주변 지역이란 노동자의 15%가 중심 도시에서 일하는 지역을 말한다. – 역주)
- MIT의 Senseable City Lab에서 다른 기관과 협업해 도로 설계, 속도 제한, 운전 행동 사이의 관계를 조사했는데, 이 과정에서 오픈스트리트맵이 사용되었습니다. 연구진은 자동차를 통해 원거리에서 측정한 데이터 5,100만 건을 사용해 오픈스트리트맵에서 추출한 도로 지물이 운전자의 규정 준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습니다. 또한 해당 연구에서는 오픈스트리트맵을 기반으로 한 예측 모델을 통해 현재 제한 속도가 시속 50 km인 지역에 30 km 제한을 적용했을 때 운전자가 규정을 얼마나 준수할 것인지까지 예측했습니다.
- PeopleForBikes에서 ‘2025년 도시 순위’를 발표하면서, 도시의 자전거 이용시설을 평가하는 데 있어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가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예컨대 미국 볼티모어와 같은 도시는 운전하기 편안한 자전거 도로망을 오픈스트리트맵에 기존보다 정확히 반영해 점수를 올릴 수 있었습니다. 더 안전하고 연결성 있는 자전거 도로망을 구축하자는 목소리 및 계획에 더 나은 지도 제작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오픈스트리트맵 활용 사례
- [1] Christian Beutel(닉네임 Flomp)이 GPS 궤적을 업로드하거나 새로운 경로를 만들 수 있는 페디버스(마스토돈) 기반 트레일 데이터베이스, Wanderer를 개발했습니다. Wanderer는 자체 호스팅이 가능하며, 풍부한 메타데이터 기능이 있어 손쉽게 검색 가능한 GPS 궤적 모음집을 누구나 구축할 수 있습니다.
- 슈피겔지에서 최근 베를린에서 발생한 차량 절도 사건을 보도하면서, 기지국 데이터로 용의자의 움직임을 분석해 용의자를 추적하는 오픈스트리트맵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작센주 차량 범죄 특별위원회에서 사용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 오스트리아 빈 대학교 도서관에서 오픈스트리트맵과 uMap을 사용해 도서관의 위치를 전부 보여주는 동적 웹 지도를 출시했다고 Befristet이 소개했습니다.
소프트웨어
- GrabMaps에서 고해상도 거리 사진과 상세한 3차원 실내 환경을 찍을 수 있도록 설계된 휴대용 LiDAR 탑재 카메라, KartaCam 2를 출시했습니다. 수집된 LiDAR 점구름(point cloud) 데이터는 최근 출시된 KartaView 3D 플랫폼에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 Sarah Hoffmann이 노미나팀(Nominatim) 버전 6의 기대되는 기능(자동 완성 기능 도입, 성능 향상, 주소 처리 개선, 복잡한 범주 및 복잡한 OSM 개체 지원 확대 등)을 소개했습니다.
출시
- Organic Maps 2025년 7월 업데이트가 나왔습니다.
- MapComplete 버전 0.54.0이 나왔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로 일부 유형의 오픈스트리트맵 개체를 복사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MangroveReview 기반의 관심 지점 리뷰가 도입되었습니다. 리뷰는 마크다운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 오픈스트리트맵 역사 PBF 파일을 분석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명령줄 도구 ohsome-planet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알고 계셨나요?
- 2008년 5월 3~4일 런던에서 열린 해커톤에서 브레인스토밍을 하던 중 현재 오픈스트리트맵의 ‘바뀜집합(changeset)’이라는 개념이 나왔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 오픈스트리트맵 태그 사용량의 역사적인 진화를 보여주고 그래프를 자동으로 생성해 주는 Martin Raifer의 OSM 태그 역사가 거의 1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작동한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해당 프로그램은 2016년 9월에 처음 공개되었는데, 태그 사용량을 자세하게 뽑아주는 프로그램은 지금까지도 거의 없기 때문에 이렇게 다시 보도하게 되었습니다.
매체 속 오픈스트리트맵
- 네이버 지도에서 북한 예성강이 삭제된 사건을 놓고 데이터 조작 의혹이 일었습니다. 네이버 측은 2023년 기준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에서 예성강이 누락되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다고 해명했으나, 오픈스트리트맵 재단 측에서는 이를 반박하며 예성강이 오픈스트리트맵에서 삭제된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지도를 두고 논쟁이 벌어진 이유는 예성강 상류의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나온 방사성 폐기물이 남한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기 때문입니다.
- 이탈리아 국립통계연구소에서 2023년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탈리아 도로의 교통사고 지표를 계산하기 위한 오픈스트리트맵 사용’ 문서를 갱신해 발표했습니다.
다가오는 행사
참고: 행사를 여기에 추가하고 싶다면, 캘린더에 행사 일정을 작성해 주세요. 캘린더에 있는 데이터만 주간OSM에 나타납니다. 캘린더 미리보기에서 행사를 확인하고, 만약 행사 정보가 틀렸다면 적절하게 수정해 주세요.
이 주간OSM은 다음 사람들이 제작했습니다. LuxuryCoop, MatthiasMatthias, Strubbl, derFred, mcliqu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