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OSM 756

2025.01.09.-2025.01.15.

lead picture

Live Maps Bandung Easy Mobility [1] | © 인도네시아 반둥시 | 지도 데이터 © 오픈스트리트맵 기여자

지도 제작

  • 의견을 받고 있는 제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 catenary_mast:*=*: 열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가공전차선을 지탱하는 수직 지지 구조물인 전철주(電鐵柱)의 유형을 나타내기 위한 태그.
    • pratictioners=*: 병원, 법률 사무소, 웰니스 센터와 같은 시설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전문가(각각 의사, 변호사, 치료사)의 수와 분야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태그.
    • contact_line=*: 철도의 전력 공급 시스템(가공 전차선, 제3궤조 등)을 자세히 나타내기 위한 태그.

커뮤니티

  • Markus가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좌표의 정밀도가 소수점 이하 7자리(적도 기준 약 10 cm의 정확도)인 반면, 일부 지리 도구는 소수점 이하 15자리(원자 단위 정밀도, 약 100 pm)까지 좌표를 기록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그러자 해당 주제로 열띤 토론이 벌어졌습니다. 여기서 xkcd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겠네요.
  • LySioS가 오픈스트리트맵 프랑스 커뮤니티 포럼에 ‘오픈퀴즈맵(OpenQuizMap): 지도 제작자들의 수수께끼’를 시작했습니다. 한 명씩 돌아가면서 문제를 내고, 나머지 사람은 정답을 맞히는 방식입니다. 출제하는 문제는 오픈스트리트맵과 관련이 있어야 합니다.
  • Josh Glenn이 적절한 저작자 표시 없이 오픈스트리트맵을 사용하는 곳을 신고하는 일에 참여하자고 촉구했습니다. 참고로 오픈스트리트맵 프랑스에서도 비슷한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Nick Doiron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유니코드 블록 중에서도 제대로 글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하면서, 이를 지원하기 위해 오픈스트리트맵에 더 많은 언어별 글꼴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Nick은 파이썬 스크립트로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 중인 문자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크로아티아 등지에서 나타나는 글라골 문자(Glagolitic)와 같이 잘 지원되지 않는 문자 집합을 찾아냈습니다. 지난 업데이트를 통해 아랍 문자 및 에티오피아 문자 등의 글꼴 지원이 개선되었지만 정확한 표현을 위해서는 더 많은 개선이 필요합니다.
  • 오픈스트리트맵 유타에서 지난 한 해 동안 도로 포장재 정보 11,246 km, 도로 3,115 km, 건물 67,998채를 오픈스트리트맵에 추가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 외에도 하이킹 트레일 800 km, 자연지물 34,959개가 작년에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유타 커뮤니티는 보행자 통행 및 야외 기반 시설 정보를 개선하기 위해 Rapid와 매필러리(Mapillary) 등을 활용했으며, 현지의 각종 관심 지점(POI) 정보를 적극적으로 갱신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OSM-US 트레일 관리 계획(Trails Stewardship initiative)과의 협업을 통해 더욱 강화되었으며, 2024년은 유타주 지도 제작에 있어서 획기적인 해로 거듭났습니다.
  • Séverin Ménard가 프랑스어권 국가를 위해 태그 속성 데이터를 프랑스어로 번역한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 집합을 만들었습니다.
  • Martin Koppenhoefer와 Something B가 오픈스트리트맵 위키에 업로드된 이미지 중 저작권 상태가 불분명한 이미지가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이러한 이미지를 완전히 삭제하기보다는 명시적인 라이선스가 있는 이미지로 대체하는 데 동의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적절한 라이선스 정보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미지가 오픈스트리트맵 매퍼가 선의로 업로드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 그레고리 말러가 ‘Every Door를 사용해 오픈스트리트맵 개선하기’라는 제목의 유튜브 동영상공유했습니다. 해당 동영상에서는 Every Door 앱 소개부터 시작해 설치 방법, 상세한 지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추가하고 편집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 Ilya Zverev가 오픈스트리트맵 개발자 커뮤니티의 2024년 발전 방향을 되돌아보면서, 오픈스트리트맵 홈페이지에 다크 모드가 추가되는 등 최근 업데이트된 내용을 집중 조명했습니다. Ilya는 공식 오픈스트리트맵 코드베이스 밖의 주목할 만한 두 가지 프로젝트로 Roman Deev의 better-osm-org와 Kamil Monich의 OSM-NG를 꼽았습니다. secara.teratur는 Ilya의 분석을 보충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재단

  • FOSSGIS에서 오픈스트리트맵 독일 경로 탐색 서버의 코로케이션1 운영 비용을 Nine이 후원하게 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 오픈스트리트맵 재단 지부 및 소통 작업반(LCCWG) 소위원회에서 오픈스트리트맵 재단 제휴 제도 개선 프로젝트의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 오픈스트리트맵 운영팀에서 오픈스트리트맵 지도 타일 렌더링 서버 두 대를 폐기해야 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안타깝게도 이제 호주, 뉴질랜드 및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오픈스트리트맵 지도 타일 서비스에 접속하는 속도가 느려질 것입니다.

행사

  • 방글라데시에서 열린 State of the Map Asia 2024에 참석한 Dennis Raylin Chen이 참가 소감을 일기장에 남겼습니다.
  • Antonio Laranjeira 기자가 지난해 12월 브라질 벨렘에서 열린 SOTM LATAM 2024에서 발표된 강연과 워크숍을 요약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 연구

  • Philipp Mascherbauer, Jonas Mariën, Francesca Conselvan이 유럽 연합 중재 프로젝트(EU Moderate Project)의 성과 중 일부를 발표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항공 사진으로부터 옥상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 시설을 감지하도록 훈련된 ResNet-34 신경망 분류기를 사용했으며,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와 항공 사진을 결합해 건물 옥상 이미지를 추출하고 분류할 수 있도록 준비했습니다. 소스 코드는 깃허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의 Evelyn Mühlhofer 외 3명이 가볍고 유연성이 뛰어난 독립형(standalone) 파이썬 기반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 추출 도구, osm-flex를 개발했습니다. 다각적인 고해상도 기후 위험 평가의 결과가 담긴 논문에서 이 도구를 어떻게 사용했는지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픈스트리트맵 활용 사례

  • [1] 인도네시아 반둥시(市)에서 반둥의 대중교통 노선과 실시간 차량 위치를 보여주는 오픈스트리트맵 기반의 동적 지도, ‘Live Maps Bandung Easy Mobility’를 개발했습니다.
  • NABU에서 진행하는 ‘겨울철 조류 관찰의 시간(Stunde der Wintervögel)’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조류 관찰 데이터를 보여주는 오픈스트리트맵 기반 동적 지도를 알고 계셨나요? 보고자 하는 독일의 주를 선택하면 약 100종의 조류에 대해 ‘종’, ‘정원 수’, ‘새의 수’, ‘정원당 새의 수’ 등의 지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지도에서는 2009년부터 2025년까지의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으며, 드롭다운 메뉴를 통해 지역 및 종별 추세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해당 지도는 Leaflet을 사용했습니다.

소프트웨어

  • Andy Allan이 이제 오픈스트리트맵 벡터 타일 생성 서버가 60분마다 데이터 업데이트를 처리하며, 이는 이전의 4시간 주기에 비해 크게 개선된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업그레이드된 하드웨어와 osm2pgsql, GEOS, PostgreSQL, PostGIS의 업데이트 덕분에 작년에 비해 처리량이 10배나 증가했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이제 벡터 소스, 스타일, 지도 타일을 제공하는 Thunderforest의 API가 1시간마다 업데이트되므로 지도를 편집할 동기가 더 커질 것입니다. 업데이트 주기를 10~20분으로 더 단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내부 캐싱으로 인해 가시적인 이점이 제한되므로 현재로서는 60분이 최선입니다.
  • MGame은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로 제작된 오픈소스 레이싱 게임입니다. MGame은 gre-42가 개발했으며, MGame에서는 미국 뉴욕시나 고산 도로와 같은 상징적인 장소를 비롯한 실제 지도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트랙을 질주할 수 있습니다. MGame은 오픈스트리트맵의 지리 공간 정확도와 몰입형 게임플레이를 결합해 지도 제작과 엔터테인먼트의 독특한 교차점을 제공합니다.
  • Geoawesome에서 지리공간 프로젝트를 향상시키는 필수 QGIS 플러그인을 소개했습니다.
  • ohsome-py 파이썬 패키지는 과거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의 추출과 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된 ohsome API 클라이언트입니다. ohsome-py는 ohsome API 요청과 응답을 pandas 또는 GeoPandas 데이터프레임으로 변환해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를 더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프로그래밍

  • Yasunori Kirimoto가 지물, 지도, 타일, 애셋, 데이터 처리 및 경로 탐색에 대한 OGC 표준을 지원하는 오픈 소스 BBOX Server를 사용해 지리공간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Yasunori는 QGIS Server를 사용해 다양한 요구에 맞춰 WMS, 래스터 타일, 벡터 타일을 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배포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 도커를 사용하였습니다. 이 글은 지리공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배포하는 BBOX Server의 유연성을 강조합니다.
  • Terence Eden이 OpenFreeMapMapLibre GL JS를 사용해 마커 군집(clustered marker) 지구본을 만드는 간단한 스크립트를 짰습니다.
  • Bert가 스페인 오르데사(Ordesa) 협곡의 3D 동적 하이킹 지도를 MapLibre GL JS로 제작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스페인 IGN의 지형 데이터, OpenFreeMap의 벡터 타일, 오픈스트리트맵의 트레일 데이터(Overpass API로 가져옴)를 통합해서 만들어졌습니다. 효율적인 호스팅을 위해 등고선 정보는 PMTile로 처리되었으며, GR11 하이킹 트레일은 음영 기복 위에 얹혀져 보입니다.
  • Swiggy Bytes가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를 활용해 도로의 품질을 평가하고, 기계 학습을 통해 문제를 감지하고 수정하면서 초근린 생활권(hyperlocal) 내의 배송 경로를 짜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첫 번째 글에서는 오픈스트리트맵의 도로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OSM-APLS와 차분 범위 계량법(delta-coverage metrics)을 적용했습니다. Swiggy는 각종 배달 옵션을 분석한 결과 ‘오토바이 최단거리’ 모드가 GraphHopper를 사용해 정확한 거리를 계산하는 데 최적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두 번째 글에서는 오픈스트리트맵에서 누락된 도로, 연결 문제, 잘못된 이동 경로를 감지하는 기계 학습 파이프라인을 소개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비지도 및 자기지도 접근 방식을 사용해 오류를 탐지하고 수정해 도로망의 범위와 정확도를 개선했습니다.
  • Andrii Holovin이 yamap 프로젝트의 토론방에서 바뀜집합을 생성하는 과정을 개선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구체적으로 Andrii는 수정이 이루어진 영역을 포괄하는 새로운 데이터 유형인 ‘기하 평면(geometry)’을 도입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이렇게 하면 이력 검토가 크게 간소화되고, 정보 검색에 필요한 API 요청 횟수가 줄어들며, 수정 사항의 영향을 받는 영역을 더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 그의 의견입니다.

출시

  • Anna Zanchetta가 오픈스트리트맵을 개선하기 위해 설계된 오픈소스 캡챠인 Maptcha를 소개했습니다. 현재 Maptcha는 알파 단계이며, 잠재적인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시험 중입니다. 관심이 있으시다면 이 링크를 통해 1주일 정도 써 보시고 피드백을 제공해 주세요. 시험 결과는 FOSDEM 2025의 지리공간 개발자 회의실에서 발표될 예정입니다.
  • react-leaflet이 5.0.0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필요 리액트 버전이 19로 올라갔으며, LeafletProvider 요소가 핵심 패키지에서 제거되었습니다.
  • 파노라맥스(Panoramax) 안드로이드 앱, baba가 1.4.0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이제 업로드 진행률이 알림 창에 표시되며, 업로드에 실패해도 재전송이 가능합니다.

알고 계셨나요?

  •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 기반의 지도가 그려진 맞춤형 어린이 놀이 매트를 만들 수 있는 웹 사이트, kinderkiez.net을 알고 계셨나요?

매체 속 오픈스트리트맵

  • Freie Presse가 독일 켐니츠의 오픈스트리트맵 공작 지도 제작 커뮤니티를 소개하는 기사를 게재했습니다(유료 기사).
  • Wieland Breitfeld가 여러 오픈스트리트맵 기여자와의 인터뷰가 담긴 ‘MDR um 4’ 프로그램의 녹화 영상을 공유했습니다. 해당 영상에서는 StreetComplete, iD 편집기, Wheelmap 등 오픈스트리트맵과 관련된 다양한 지도 제작 도구를 집중적으로 다루었습니다.

기타 ‘지리’ 관련 소식

  • 코페르니쿠스 브라우저(Copernicus Browser)는 센티넬 1호(Sentinel-1), 센티넬 2호(Sentinel-2)를 비롯한 각종 코페르니쿠스 임무를 통해 얻은 지구 관측 데이터에 접근하고, 이를 시각화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코페르니쿠스 브라우저를 이용하면 손쉽게 지리공간 정보를 탐색하고, 시간 및 공간 범위별로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트루 컬러, NDVI, 또는 사용자 지정 스펙트럼 대역과 같은 시각화 옵션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하면 타임랩스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지형을 3D로 시각화하고, 통계 분석에 유용한 히스토그램을 만드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 흰줄숲모기(Aedes aegypti)는 뎅기열과 같은 치명적인 감염병을 옮깁니다. Steffen Knoblauch는 박사 학위 논문에서 빅 데이터 방법론을 공간 데이터에 적용해 모기 분포와 물림 위험을 예측함으로써 질병 통제를 개선하고 공중 보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 Frédéric Cantat가 프랑스 정부의 주소 조회 웹 사이트를 어떻게 개선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했습니다.
  • 포켓몬 고의 개발사 나이언틱에서 전 세계의 포켓몬 생성 지점을 새로 고치고 새로운 오픈스트리트맵 데이터로 지도를 업데이트하는 대규모 업데이트를 실시했습니다. 2022년 이후 처음으로 실시되는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다양한 포켓몬의 출현 지점이 늘어났고, 도시 지역의 분포도가 개선되었으며, 시골 지역의 포켓몬 출현 지점이 많아졌습니다. 나이언틱은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오픈스트리트맵의 ‘행성 파일(planet file)’을 사용해 게임 지도를 조정함으로써 전 세계 방방곡곡에서 플레이어가 포켓몬 고를 수월하게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거리뷰 이미지라는 개념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Christopher Beddow가 살펴보았습니다. Christopher는 20세기 초의 도시 기록으로 시작해 오늘날의 구글 스트리트 뷰, 네이버 거리뷰로 이어지는 역사를 이야기하면서, 1978년 아스펜 영화 지도, 초기 도로 측량, 스탠퍼드의 CityBlock 프로젝트와 같은 중요한 순간을 언급했습니다. CityBlock 프로젝트는 오늘날의 스트리트 뷰와 같은 서비스를 만드는 첫 걸음이었습니다. 현재는 오픈소스 및 크라우드소싱 방식을 사용하는 매필러리(Mapillary)와 파노라맥스(Panoramax)와 같은 대체재가 존재합니다. 그리고 컴퓨터 비전과 라이다(LiDAR)의 눈부신 발전 덕분에 우리는 휴대폰과 컴퓨터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기에서 더욱 사실적인 3D 지도와 경험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가오는 행사

장소명칭Online일시국가
Comuna 13 – San JavierJunta OSM Latam – Inicio de organización del SotM Latam 2025 Medellín 2025-01-18flag
UtrechtNieuwjaarsborrel OSGeo.nl, OSM.nl en QGIS Gebruikersvereniging Nederland 2025-01-19flag
Panoramax monthly international meeting 2025-01-20
HannoverOSM-Stammtisch Hannover 2025-01-20flag
Missing Maps London: (Online) Mid-Month Mapathon [eng] 2025-01-21
LyonRéunion du groupe local de Lyon 2025-01-21flag
Bonn184. OSM-Stammtisch Bonn 2025-01-21flag
San JoseSouth Bay Map Night 2025-01-22flag
LüneburgLüneburger Mappertreffen 2025-01-21flag
Lübeck149. OSM-Stammtisch Lübeck und Umgebung 2025-01-23flag
OSMF Engineering Working Group meeting 2025-01-24
ChambéryMapathon en ligne saison 24/25 CartONG 2025-01-27flag
Stadtgebiet BremenBremer Mappertreffen 2025-01-27flag
БеоградSrbija OpenStreetMap okupljanje 2025-01-28flag
BerlinOSM-Verkehrswende #65 2025-01-28flag
MapRVA Map & Yap 2025-01-30
DüsseldorfDüsseldorfer OpenStreetMap-Treffen (online) 2025-01-29flag
London Borough of IslingtonGeoMob London 2025-01-30flag

참고: 행사를 여기에 추가하고 싶다면, 캘린더에 행사 일정을 작성해 주세요. 캘린더에 있는 데이터만 주간OSM에 나타납니다. 캘린더 미리보기에서 행사를 확인하고, 만약 행사 정보가 틀렸다면 적절하게 수정해 주세요.

이 주간OSM은 다음 사람들이 제작했습니다. LuxuryCoop, MatthiasMatthias, Raquel Dezidério Souto, Strubbl, derFred, mcliquid.